빅데이터를 활용한 2021년 관광트렌드 분석
안녕하세요,
그래프 데이터 사이언스(Graph Data Science) 기술 기업 ㈜사이람입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관광과 관련된 SNA 활용 연구사례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국관광공사는 매년 관광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트렌드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사이람은 지난 2021년,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NetMiner를 이용하여 3년 간의 소셜 미디어, 이동통신사, 카드사 빅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2021 관광트렌드 전망'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데이터 현황
주요 소셜 미디어(유튜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조사와
통신, 차량 이동 데이터 등 관광 인구 이동 패턴의 변화 추이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여 코로나19 전후 사람들의 심리 변화가 여행 시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 소셜 미디어 데이터
- NetMiner의 SNS Data Collector를 활용하여, '여행', '관광', '투어' 에 대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
- 수집 기간 : 2018~19년
<SNS(YouTube) Data Collector 실행 화면> <데이터 수집 결과 화면>
▶ 관광 인구 이동 데이터
- 데이터 : 시군구 및 광역별 방문자 데이터(시군구 단위 / 광역 단위)
- 수집 기간 : 2018~19년
분석 프로세스
분석 방법
관광 관련 소셜 미디어 트렌드 분석을 위해 영상 데이터와 댓글 데이터를 수집하고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였습니다.
한편, 관광 인구 이동 패턴 분석은 시군구 및 광역별 방문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광 허브 지역 발굴(Centrality)과 관광 권역(Community)을 파악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를 비교했을 때, 몇몇 허브 도시를 중심으로 권역이 뭉쳐지는 경향이 강해져 '단기·근교 중심의 여행', 'VR 체험' 등 잠재적 여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나만을 위한 힐링 여행', '색다른 여행지에 대한 관심', '가까운 지인들과 떠나는 소소한 여행' 등 심리적·물리적 안정을 추구와 새로운 여행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는 흐름을 이끌어냈습니다.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관련 기사
B.E.T.W.E.E.N. 코로나시대 관광···'불안과 기대' 사이에서
제 89호 뉴스레터(2021년 국내여행 트렌드, B.E.T.W.E.E.N)
[KTO 포커스-12호] 2021년 국내여행 트렌드, "B.E.T.W.E.E.N"
2021년 국내 관광 트렌드 'B.E.T.W.E.E.N' 전망
한국관광공사, 2021년 국내관광 트렌드 핵심은 'B.E.T.W.E.E.N'
※ 문의 이메일 : netminer@cyr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