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성과정보 분석(2014)
[고객]
- 중앙행정기관
[주요 목표]
- R&D 성과정보를 R&D 사업의 평가에 대응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 기법 도입
- 향후 성과정보의 확산 전략 및 서비스 체계 구축
- 정책담당자 및 연구자 성과정보의 효과적 활용
[주요 내용]
데이터)
- 과제 정보
• 과제
기본 정보 : 과제번호, 과제명, 연구기간, 수행기관 정보 등
• 과제
분야 정보
• 과제
요약 정보 :연구목표, 내용, 기대효과, 키워드 등
• 연구비
정보
• 참여연구원
정보
- 성과 정보
• 논문
• 산업재산권
• 기술료
• 사업화
분석 과정)
1. 데이터모델링
- 연구 분야 간 네트워크
•
연구 기술 연계 및 확산 트렌드의 변화를 직관적 확인
- 연구자 간 네트워크
구분 |
노드 |
링크 |
비고 |
연구
분야 간 네트워크 |
연구
분야 |
연구 분야 간 과제
동시출현정도 |
|
연구자
간 네트워크 |
연구자 |
논문
공저 관계 |
주저자/공저자 여부에 따라 별도의 가중치를 부여 |
2. 데이터 분석
- 연구 분야 간 네트워크
구분
|
Main
Node
|
Sub
Node
|
Link
|
연구
분야 간 네트워크
|
연구 분야
|
수행
과제
|
과제-연구분야
포함 관계
|
1) 네트워크 데이터 구성 (2-mode)
2) 2-mode 네트워크로부터 1-mode 네트워크 추출
3) 과제와 연구분야 간 유사도 측정(Cosine Similarity)
4) Self Link 제거 및 Link Reduction
5) 연구분야 응집그룹 분석(Clique)
- 연구자 간 네트워크
구분 |
Main
Node |
Sub
Node |
Link |
연구자
간 네트워크 |
연구자 |
논문 |
연구자-논문 참여 관계 |
1) 네트워크 데이터 구성 (2-mode)
2) 2-mode 네트워크로부터 1-mode 네트워크 추출
3) 논문과 연구자간 유사도 측정(Inner Product)
4) Self Link 제거 및 Link Reduction
5) 연구자 네트워크 중심성(Centrality) 및 응집그룹(Community) 분석
* 데이터 분석 : NetMiner 활용
- R&D 과제 및 성과를 통해 형성된 연구자와
연구 분야 간의 숨은 관계를 가시화하여, 향후 연구자들이 잠재적 공동 연구자와의 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연구 분야 간 동향을 파악
- 이를 통해 정책 담당자가 연구 분야 간 트렌드를 확인하고,
연구 분야의 기술 연계 현황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연구자가 연구자 간의 중요 인물을
파악
ð 연구 성과의
파급 효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 설정에 활용